임상전문가용(Clinician List)
임상전문가용(Clinician List)
  • Q1. 의학적 금기가 없는 한 모든 신생아에게 출생 직후부터 모유수유를 권장한다.

    +-

    • (1) 설명

       모유는 영유아에게 가장 좋은 영양 공급원이며, 정신 신체적으로 많은 이점을 지니며, 유아와 산모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의학적 금기가 없는 한 출생 직후부터 모유 수유를 시작하고 생후 6개월 동안은 완전한 모유수유를 하며, 6개월경 이유식을 도입하고, 2세까지 지속적인 모유 수유를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과학적으로 입증된 모유수유의 의학적 및 신경발달측면의 장단기 이점을 감안할 때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의 정립이 필요합니다. 모유수유 친화적 환경을 만들고, 모유수유와 관련된 훈련 및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모유수유를 하지 않을 경우의 불리한 점을 알아야 합니다.

       

      (2) 참고문헌

      1. 대한신생아학회/대한모유수유의학회 검토

      2. Breastfeeding and Human Milk. Red Book: 20212024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32nd Editio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21

      3.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WHO Newsroom, 2021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infant-and-young-child-feeding

      4. ACOG Committee Opinion No. 756: Optimizing Support for Breastfeeding as Part of Obstetric Practice. Obstet Gynecol. 2018 Oct;132(4):e187-e196. doi: 10.1097/AOG.0000000000002890. PMID: 30247365.

      5. Berens P, Eglash A, Malloy M, Steube AM. ABM Clinical Protocol #26: Persistent Pain with Breastfeeding. Breastfeed Med. 2016 Mar;11(2):46-53. doi: 10.1089/bfm.2016.29002.pjb. Epub 2016 Feb 16. PMID: 26881962.

      6. Pérez-Escamilla R, Martinez JL, Segura-Pérez S. Impact of the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 on breastfeeding and chil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Matern Child Nutr. 2016 Jul;12(3):402-17. doi: 10.1111/mcn.12294. Epub 2016 Feb 29. PMID: 26924775; PMCID: PMC6860129.

      7. Section on Breastfeeding. Breastfeeding and the use of human milk. Pediatrics. 2012 Mar;129(3):e827-41. doi: 10.1542/peds.2011-3552. Epub 2012 Feb 27. PMID: 22371471.

       

  • Q2. 증상이 없는 신생아에서 세균감염의 증거가 없다면 출생 후 48시간 이상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 (1) 설명

       증상이 없는 만삭아 또는 조산아에게 세균감염을 배제하기 위해 항생제를 48시간보다 더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은 근거가 부족합니다. 의미 있는 세균 감염은 대부분 48시간 이내에 혈액배양검사에서 검출되므로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중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불필요한 항생제의 지속사용은 극소체중출생아에서 괴사성 장염 및 사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2018년 미국 소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Pediatrics 학술지를 통해, 매우 낮은 체중으로 태어난 대부분의 조산아는 치명적인 조기 발병 패혈증의 위험이 있으므로 출생 직후에 항생제를 투여하지만, 항생제의 노출은 일부 영아에서 좋지 않은 결과와 연관되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따라서 항생제 투여의 위험과 이점을 고려하여, 조기 발병 패혈증이 발병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신생아를 식별하고 이 외의 경우에는 조기에 항생제를 끊는 것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2) 참고문헌

      1. 대한신생아학회/대한소아감염학회 검토

      2. Cotten CM, Smith PB. Duration of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for infants suspected of early-onset sepsis. Curr Opin Pediatr. 2013 Apr;25(2):167-71. doi: 10.1097/MOP.0b013e32835e01f6. PMID: 23407181; PMCID: PMC3596444.

      3. Cotten CM, Taylor S, Stoll B, Goldberg RN, Hansen NI, Sánchez PJ, Ambalavanan N, Benjamin DK Jr; NICHD Neonatal Research Network. Prolonged duration of initial empirical antibiotic treatmen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ates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death for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Pediatrics. 2009 Jan;123(1):58-66. doi: 10.1542/peds.2007-3423. PMID: 19117861; PMCID: PMC2760222.

      4. Garcia-Prats JA, Cooper TR, Schneider VF, Stager CE, Hansen TN. Rapid detection of microorganisms in blood cultures of newborn infants utilizing an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 Pediatrics. 2000 Mar;105(3 Pt 1):523-7. doi: 10.1542/peds.105.3.523. PMID: 10699103.

      5. Puopolo KM, Benitz WE, Zaoutis TE; COMMITTEE ON FETUS AND NEWBORN;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Management of Neonates Born at 35 0/7 Weeks' Gestation With Suspected or Proven Early-Onset Bacterial Sepsis. Pediatrics. 2018 Dec;142(6):e20182894. doi: 10.1542/peds.2018-2894. PMID: 30455342.

      6. Puopolo KM, Benitz WE, Zaoutis TE; COMMITTEE ON FETUS AND NEWBORN;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Management of Neonates Born at 34 6/7 Weeks' Gestation With Suspected or Proven Early-Onset Bacterial Sepsis. Pediatrics. 2018 Dec;142(6):e20182896. doi: 10.1542/peds.2018-2896. PMID: 30455344.

       

  • Q3. 생후 24개월 이상의 유소아에서 중이염의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초기에는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다.

    +-

    • (1) 설명

       생후 24개월 이의상 유소아의 중이염은 고열, 구토 또는 처짐 등의 급성 병색이 없는 경우 초기에는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습니다. , 귀의 통증, 발열 등에 대한 증상 완화 치료를 하면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48-72시간 동안 기다려볼 수 있습니다. 관찰 또는 초기 항생제 투여의 여부는 유소아의 나이, 중이염 진단의 명확성 및 증상의 심한 정도를 고려해야 하고,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48-72시간 후에 재평가가 필요합니다.

       

      (2) 참고문헌

      1. 대한이과학회. 2014년 유소아 중이염 진료지침.

      2. Lieberthal AS, Carroll AE, Chonmaitree T, Ganiats TG, Hoberman A, Jackson MA, Joffe MD, Miller DT, Rosenfeld RM, Sevilla XD, Schwartz RH, Thomas PA, Tunkel DE.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otitis media. Pediatrics. 2013 Mar;131(3):e964-99. doi: 10.1542/peds.2012-3488. Epub 2013 Feb 25. Erratum in: Pediatrics. 2014 Feb;133(2):346. Dosage error in article text. PMID: 23439909.

      3. Venekamp RP, Sanders S, Glasziou PP, Del Mar CB, Rovers MM. Antibiotics for acute otitis media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 Jan 31;(1):CD000219. doi: 10.1002/14651858.CD000219.pub3. Update i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5;(6):CD000219. PMID: 23440776.

  • Q4. 소아청소년에서 합병증이 없는 급성 상기도 감염증(감기 등)의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일률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 (1) 설명

       상기도 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이므로 항생제 치료는 권하지 않습니다. 상기도 감염에서는 주로 콧물, 코막힘, 기침, 또는 인후통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증상이 있다고 해서 항생제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세균성 부비동염 또는 A 군 연쇄구균 인두염과 같은 경우에만 항생제 사용을 권장합니다. 호흡기 감염증은 소아청소년 항생제 처방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약 50%는 불필요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호흡기바이러스 감염에서 항생제는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의료비 상승, 약물로 인한 부작용, 그리고 항생제 내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참고문헌

      1. 대한소아감염학회 검토

      2. 질병관리본부. 소아 급성 상기도 감염의 항생제 사용지침. 2016

      3.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antimicrobial stewardship: appropriate and judicious use of antimicrobial agents, Red Book: 20212024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David W. Kimberlin, MD, FAAP, Elizabeth D. Barnett, MD, FAAP, Ruth Lynfield, MD, FAAP, Mark H. Sawyer, MD, FAAP

      4. Wald ER, Applegate KE, Bordley C, Darrow DH, Glode MP, Marcy SM, Nelson CE, Rosenfeld RM, Shaikh N, Smith MJ, Williams PV, Weinberg ST;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bacterial sinusitis in children aged 1 to 18 years. Pediatrics. 2013 Jul;132(1):e262-80. doi: 10.1542/peds.2013-1071. PMID: 23796742.

      5. Fleming-Dutra KE, Hersh AL, Shapiro DJ, Bartoces M, Enns EA, File TM Jr, Finkelstein JA, Gerber JS, Hyun DY, Linder JA, Lynfield R, Margolis DJ, May LS, Merenstein D, Metlay JP, Newland JG, Piccirillo JF, Roberts RM, Sanchez GV, Suda KJ, Thomas A, Woo TM, Zetts RM, Hicks LA. Prevalence of Inappropriate Antibiotic Prescriptions Among US Ambulatory Care Visits, 2010-2011. JAMA. 2016 May 3;315(17):1864-73. doi: 10.1001/jama.2016.4151. PMID: 27139059.

       

  • Q5. 영아의 위식도역류 치료를 위해 위산억제제나 장운동성 약물을 일률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 Q6. 소아청소년에서 경고 증상이 없는 복통의 평가를 위한 조기검사로 CT를 시행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 (1) 설명

       복통에 대한 평가는 정확한 문진과 신체검사를 바탕으로 연령 및 복통의 위치에 따라 원인 질환을 고려하며, 외과적 복통에 대한 감별을 먼저 시행해야 합니다. 만성 복통은 기질적 질환의 가능성에 대한 감별이 중요한데, 경고 증상과 경고 징후가 있는 경우에 기본 검사와 특수 검사를 비침습적 검사에서 침습적 검사 순서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급성 복통은 외과적 질환이나 염증성 질환, 기능성 위장관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상력과 증상을 확인하고 신체 진찰을 한 뒤, 감별이 필요할 경우에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평가를 해야 합니다.

       

      (2) 참고문헌

      1.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검토

      2. 홍창의 소아과학 12, P566~569

      3. Frush K. Why and when to use CT in children: perspective of a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physician. Pediatr Radiol. 2014 Oct;44 Suppl 3:409-13. doi: 10.1007/s00247-014-3122-x. Epub 2014 Oct 11. PMID: 25304696.

      4. Grim PF 3rd. Emergency medicine physicians' and pediatricians' use of 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pediatric patients with abdominal pain without trauma in a community hospital. Clin Pediatr (Phila). 2014 May;53(5):486-9. doi: 10.1177/0009922813517170. Epub 2014 Jan 3. PMID: 24391124.

      5. Niles LM, Goyal MK, Badolato GM, Chamberlain JM, Cohen JS. US Emergency Department Trends in Imaging for Pediatric Nontraumatic Abdominal Pain. Pediatrics. 2017 Oct;140(4):e20170615. doi: 10.1542/peds.2017-0615. Epub 2017 Sep 15. PMID: 28916590.

       

  • Q7. 건강한 소아청소년에서 발견된 무증상 세균뇨를 치료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 (1) 설명

        무증상 세균뇨, "증상이 없는 세균뇨"란 요로감염과 관련된 증상이나 징후가 없는 사람에게 청결하게 채취한 소변에서 의미 있는 수의 세균이 배양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요로 감염과 관련된 증상이나 징후는 농뇨를 동반한 발열, 냄새 나는 소변, 육안 혈뇨, 빈뇨, 배뇨통, 절박뇨, 옆구리 통증 등을 말합니다. 증상이 없는 세균뇨를 가진 소아청소년에게 항생제 치료를 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증상이 없는 세균뇨를 치료하는 경우와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신우신염과 신반흔 발생률의 차이는 없습니다. 오히려 항생제 치료를 하면 내성균이 증가하고,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이나 설사와 같은 약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국감염학회에서는 증상이 없는 세균뇨를 가진 성인 중 임신한 여성과 요로계의 침습적인 시술을 시행 받을 예정인 사람은 치료를 하지만 그 외에는 치료를 권하지 않고 있습니다.

       

      (2) 참고문헌

      1. 대한소아신장학회 검토

      2. Cai T, Nesi G, Mazzoli S, Meacci F, Lanzafame P, Caciagli P, Mereu L, Tateo S, Malossini G, Selli C, Bartoletti R. Asymptomatic bacteriuria treatment is associated with a higher prevalence of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in wom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Clin Infect Dis. 2015 Dec 1;61(11):1655-61. doi: 10.1093/cid/civ696. Epub 2015 Aug 12. PMID: 26270684.

      3. Delbet JD, Lorrot M, Ulinski T. An update on new antibiotic prophylaxis and treatment for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Expert Opin Pharmacother. 2017 Oct;18(15):1619-1625. doi: 10.1080/14656566.2017.1383383. Epub 2017 Sep 27. PMID: 28954556.

      4. Lindberg U. Asymptomatic bacteriuria in school girls. V. The clinical course and response to treatment. Acta Paediatr Scand. 1975 Sep;64(5):718-24. doi: 10.1111/j.1651-2227.1975.tb03910.x. PMID: 1166792.

      5. Nicolle LE, Gupta K, Bradley SF, Colgan R, DeMuri GP, Drekonja D, Eckert LO, Geerlings SE, Köves B, Hooton TM, Juthani-Mehta M, Knight SL, Saint S, Schaeffer AJ, Trautner B, Wullt B, Siemieniuk R.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Asymptomatic Bacteriuria: 2019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 Infect Dis. 2019 May 2;68(10):1611-1615. doi: 10.1093/cid/ciz021. PMID: 31506700.

      6. Savage DC, Howie G, Adler K, Wilson MI. Controlled trial of therapy in covert bacteriuria of childhood. Lancet. 1975 Feb 15;1(7903):358-61. doi: 10.1016/s0140-6736(75)91277-5. PMID: 46511.

      7.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initial UTI in febrile infants and children 2 to 24 months. Pediatrics. 2011 Sep;128(3):595-610. doi: 10.1542/peds.2011-1330. Epub 2011 Aug 28. PMID: 21873693.

       

       

  • Q8. 건강한 소아청소년에서 일률적으로 비타민 D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 (1) 설명

       비타민 D 검사는 비타민 D 결핍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 시행하며 모든 소아에서 검사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습니다. 비타민 D 결핍성 구루병의 증상을 보일 경우 즉, 뼈의 변형, 뒤뚱거리는 걸음, 구루병 염주, 뼈의 통증,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있으면 비타민 D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외에 비타민 D 결핍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는 만성콩팥병, 간부전, 흡수장애, 부갑상선기능항진증, 특정 약물(항경련제, 스테로이드, 케토코나졸 등), 임신, 경미한 외상에도 골절이 발생한 경우, 비만(체질량지수 >30 kg/m2), 결핵 등이 해당됩니다. 비타민 D의 경도의 결핍이 있는 무증상 환자에서 햇빛에 충분히 노출되고 있는 경우에 비타민 D치료가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으므로 비용-효과를 고려하여 모든 소아에서 선별 검사를 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2) 참고문헌

      1. 대한소아내분비학회 검토

      2. Bouillon R, Carmeliet G. Vitamin D insufficiency: Defini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018 Oct;32(5):669-684. doi: 10.1016/j.beem.2018.09.014. Epub 2018 Oct 3. PMID: 30449548.

      3. Holick MF, Binkley NC, Bischoff-Ferrari HA, Gordon CM, Hanley DA, Heaney RP, Murad MH, Weaver CM; Endocrine Society. Evalu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tamin D deficienc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1 Jul;96(7):1911-30. doi: 10.1210/jc.2011-0385. Epub 2011 Jun 6. Erratum in: J Clin Endocrinol Metab. 2011 Dec;96(12):3908. PMID: 21646368.

      4. Munns CF, Shaw N, Kiely M, Specker BL, Thacher TD, Ozono K, Michigami T, Tiosano D, Mughal MZ, Mäkitie O, Ramos-Abad L, Ward L, DiMeglio LA, Atapattu N, Cassinelli H, Braegger C, Pettifor JM, Seth A, Idris HW, Bhatia V, Fu J, Goldberg G, Sävendahl L, Khadgawat R, Pludowski P, Maddock J, Hyppönen E, Oduwole A, Frew E, Aguiar M, Tulchinsky T, Butler G, Högler W. Global Consensus Recommendation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utritional Rickets. J Clin Endocrinol Metab. 2016 Feb;101(2):394-415. doi: 10.1210/jc.2015-2175. Epub 2016 Jan 8. PMID: 26745253; PMCID: PMC4880117.

  • Q9. 단순열성경련 소아 환자에서 CT, MRI 등의 신경계영상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 (1) 설명

       일반적으로 단순열성경련에는 뇌MRI나 뇌CT검사가 권고되지 않습니다. 다만 신경학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중추신경계 감염이 의심되거나 배제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고려할 수 있습니다. 뇌영상검사를 위해서는 진정약제를 투여해야 하므로 이와 연관된 위험이 있으며, CT는 방사선에 노출되는 부담이 있습니다. 뇌영상검사를 고려하기 전에 임상적으로 관찰을 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입니다.

       

      (2) 참고문헌

      1. 대한소아신경학회 검토

      2. Subcommittee on Febrile Seizures. Febrile Seizures: Guideline for the Neurodiagnostic Evaluation of the Child With a Simple Febrile Seizure, Pediatrics (2011) 127 (2): 389394.

      3. Giuseppe Capovilla 1, Massimo Mastrangelo, Antonino Romeo, Federico Vigevano.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febrile seizures’’ Ad hoc Task Force of LICE Guidelines Commission. Epilepsia, (2009) 50(Suppl. 1): 26.

      4. Dunlop S, Taitz J.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anagement of simple febrile convulsions at a tertiary paediatric institution. J Paediatr Child Health (2005) 41:647651.

      5. Hampers LC, Thompson DA, Bajaj L, Tseng BS, Rudolph JR. Febrile seizure: measuring adherence to AAP guidelines among community ED physicians. Pediatr Emerg Care (2006) 22:465469.

       

1